2016년 3월 17일 목요일
Case #55 - 창조적인 무
베티나는 그녀의 남편이 죽는것에 대해서 두려워했다. 그리고 그녀의 가족들은 일찍 생을 끝마친 사람들이 많았다고한다. 그리고 어떤 점쟁이가 그도 일찍 갈 수도 있다고 말해주었다한다. 그리고 그는 매일 늦게까지 일어나있다고했다. 우리는 말하면서 그가 이런 이슈들에대해 무난하게 생각하고 있었다는 것에대해 알 수가 있었다. 매일 늦게까지 밖에있어가면서 도박과 술을 즐기는 친구들과 날을 샌다는 부분이었다. 그가 집에 돌아올때 그는 아주 시끄러웠고 조심스럽지 않기떄문에 그녀를 잠자리에서 깨웠다고한다. 그녀는 아주 작은 시간을 가족과 함께했다한다. 그리고 그녀의 가족은 도박에 돈을 많이 잃었다고한다. 이런 그녀의 결혼생활에 몇십년간 시달려야했다한다. 그녀의 그런 나쁜 가정 시스템이 계속 되어가며 그런점들은 다이나믹하며 필드에 한 그림을 그려줄수가 있다. 이러한 시스템속에 그녀는 분노를 가지고 있었고 그와 말하는 일이 적어졌다한다. 나는 행여나 그가 죽게되면 그녀가 슬퍼질지에대해 물었다. 그녀는 아마도 안도의 한숨을 쉬지않을까에대해 나는 의문을 가졌다. 그녀도 동의했다. 게슈탈트에선 양극성을 보기때문이다. 나는 그녀가 나에게서 무엇을 원하는지에 대해서 물었다. 그녀는 방향을 잡고 무엇을 할지를 찾고있었다고한다. 그녀는 그녀의 아버지가 비슷했다고한다. 밤늦게까지 도박을하는 타입이었다한다. 그런건 필드를 그려주었다. 이건 정말 문제되는 일들로 나에게 보였다. 그리고 그녀의 남편은 그녀의 자매에게 많은 신뢰를 가지고 있었다고한다. 그리고 그런 그 자매는 베티나를 안좋게 보았다고한다. 그런 얘기를 늘어놓는 그녀를 보는도중 나는 그녀가 자기 자신을 꼬집는 부분이 보였다. 그래서 나는 그녀 자신이 아니라 그녀의 자매를 꼬집어보라했다. 그리고 나는 그녀에게 베개를 놓아보라했다. 그녀는 주츰했다. 그리고 자기 자신을 더욱 꼬집었다. 나는 조금의 푸시를 주었다. 그 베개는 그냥 베개였다. 그리고 나는 그 사실을 강조했다. 아무것도 없다고 말해주었다. 이건 그녀에게 아주 어려운듯해보였다. 하지만 그녀는 해냈다. 그리고 그녀는 그 베개에 손을 묻었다. 게슈탈트에선 이걸 [Retroflection]이라 부른다. 다른사람에게 할 일은 자기 자신에게도 돌아오는 것처럼 행동하라는 것이었다. 나는 여러가지 단어를 써가며 설명해주었다. 하지만 그녀는 여럿 다른 형제자매들이 그녀를 탓하는 듯한 경향이 있다는 것에대해 알려주기 시작했다. 그래서 나는 조금 스톱을 걸었다. 이 전부의 프로세스는 무력함을 알려주었고, 서포트가 없다는 점들과 그녀가 여러가지 패턴을 조화시킬수 없다는게 보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여러모로 사람관계에서 폭력적인 관계속에 있는것을 알수가 있었다. 이런 문제는 그저 방향을 주고 어떻게하라고하는것에 무언가 바뀌는것은 아닐거라보았다. 이래라저래라해도 뭐가 바뀔것같지 않았다. 너무 많은 문제를 품고있는것같아 한 세션에 모든걸 해결하기에는 힘들어보였다. 테라피스트로써, 불가능한것들도 보아야한다. 그리고 어쩔 수 없는것에 희망을 불어넣어서는 안된다. 그래서 나는 그녀를 다른 방향에 인식을 두게했다. 그리고 나는 그녀에게 혹시 모든 사람들이 자기중심적인지에대해 물었다. 하지만 그녀는 그런식으로 생각치않는다 답했다. 나는 그 후 모든 사람은 조금씩은 자기중심적인 면이 있다고 해주었다. 그녀는 그저 일이 있게해도 된다고 말해주었다. 나는 그녀를 바라보았다. 그리고 그녀에게 얼마나 불행하다고 느끼고 있는지에대해 물었다. 이건 만남의 순간이었다. 나는 그녀를 있는 곳에서 구해주고 싶지않았다. 그리고 무언가를 고칠 필요도 느끼지 못했다. 그런도중 나는 그녀에게 다른 삶을 보내길 바라기도 했다. 나는 그녀와 앉아서 보는것들을 다 이름지어주었다. 상황적으로 그녀의 어머니가 경험한 것들이 비슷한게 많았다고 설명해주었다. 그녀에게 이런 생활은 몇십년간 이어졌다. 아무리 아는게 있어도 일들은 악화되었었고 일은 계속 그런 틀에서 계속되었다한다. 있는 상황들을 강조해서 알려주는데 있어서 나쁜일들을 저조시켜주었다. 나는 그녀에 대해서 심판하려는게 아니었다 그리고 그저 인식해주었다. 이런방식으로 나는 그녀를 볼 수가 있었고 그녀옆에 있어주며 그녀의 진실된 면을 봐주었다. 게슈탈트 테라피스트들은 이런걸 [Sitting with the creative void]라고 부른다. 그저 앉아있어야하고 빠져서는 안되고 도망쳐서도 안된다. 왜냐면 다른것들이 나올수도 있기떄문이다. 그녀는 얘기를 멈출때 그녀는 안도했다고한다. 나는 알겠다고하고 여러모로 지적해주었다. 그녀의 결혼생활은 이미 끝을 본 상태라고 말해주었다. 그래서 이젠 무엇을 어떻게하면 좋은것인가? 나는 그녀에게 어떤 정도의 확률로 이 상황이 바뀔수가 있는지에대해 물었다. 나는 아주 작은 확률이라고 보았다. 만일 그녀가 빵점을 주게되면 나는 그녀를 그런 구렁텅이에서 어떻게 빠져나가게 할지를 알려줄것이었다. 하지만 그녀는 15%가능성이 있다고했다. 이건 여러가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나는 그 가능성은 무엇을 보여주고 있는지에대해 물었다. 그리고 그녀가 할 수 있는 일들은 존재해보였다. 그녀는 그녀가 행복을 되찾을수가 있다고믿었다. 좋다. 그건 뭔가 솔루션을 바라보는것같았다. 나는 더욱 더 물었다. 그녀는 그녀자신이 자식들에게 관심을 퍼부워볼거라했다. 하지만 나는 그녀에게 이미 하고 있던 일이라고 얘기해줬다. 그녀는 다른 행복을 찾을 수 있는 일들에 대해 말해주었다. 나는 그녀가 더욱 더 아이디어를 내는것을 원했다. 그것들은 그녀와 남편과의 관계를 도와줘야하는것이었다. 그녀는 이미 남편의 아침식사를 만들어주는걸 그만뒀다고한다. 그래서 그는 조금씩 그녀가 뭔가 해주기를 바라는 구석이 생겼다한다. 그전에 그녀를 그리워했다한다. 그래서 나는 그녀에게 만일 아침식사를 만들어주게되면 어떻게할지에 대한 팁을 주었다. 그녀는 그녀의 가족과 시간을 보내야한다고 생각했다. 이건 아주 좋은 스타트를 의미했다. 하지만 이건 무언가 다른것의 시작을 보여주었다. 나는 어떤양의 것을 어떻게, 그리고 어느정도 자주해줄까에대해 의논했다. 나는 그녀에게 그가 몇번씩 아침식사를 만들어보게끔 의견을 내세워보라고했다. 만일 그녀가 새로 다른이와 인간관계를 맺게된다면 몇년이고 걸릴지 모른다고 나는 확신했다. 그리고 그런 그녀에겐 많은 서포트가 필요할터이다. 게슈탈트에서 우리는 조화를 중요시여긴다. 그리고 그런 프로세스는 차츰차츰 일어나야한다. 이번 케이스에선 무에서 무언가 불어나와야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건 모두 그녀안에서 만들어져야하는 것이었다. 이번 상황과 같이 내가 그녀를 초대해 내가 만든 방향을 준다면 그녀의 관심은 [그게 뭔가]를 따지려들것이고 그녀는 그런 희미하지만 시작점이되는것들에대해 반응해 에너지를 향하고 싶은것을 찾아 행동하게 되어있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